목차
철강 중소형 관련주 TOP10
각종 철강제품들을 생산, 유통, 판매하는 중소형 철강업체군으로 철광석 등의 원재료 가격인상에 따른 국제 철강가격의 인상과 환율하락시 수혜가 예상됩니다.
1. 화인베스틸
– 조선용 형강의 제조 및 유통업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며,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에 본사 및 공장을 두고 있음.
– 후판 지지의 역할을 하는 인버티드 앵글을 주로 생산하며, 주요 매출처는 현대중공업, 대우조선해양, 한진중공업 등의 국내 조선업체들
– 조선용 형강 및 일반 형강 생산, 판매를 주요사업을 영위하며 조선용 형강제품을 주력으로 생산
– 형강의 샤프 에지 제거장치 관련 2건의 특허등록을 기반으로 압연온도 저하기술 개발, H빔, 철도용 강종개발 등 다수의 연구개발을 진행 중이며 높은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음.
– 주력 조선용 형강 수주 부진으로 전년동기대비 매출 감소, 원가구조 악화되며 영업손실 규모 확대, 금융수지 개선에도 법인세비용 기록으로 순손실 규모도 확대.
– 순손실 지속에도 재고자산의 감소 등으로 운전자금 부담 완화되며 영업활동상 정(+)의 현금흐름을 지속, 그러나 차입금의존도는 여전히 과중한 수준을 보임.
– 국내외 경기 개선에도 전방 조선산업의 건조량 부진으로 인하여 주력제품인 인버티드 앵글 수주 감소하며 매출 성장은 제한적일 듯.
2. 대동스틸
– 1973년 8월 철강재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설립되었으며 2002년 1월에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어 거래되고 있음.
– 포스코의 열연제품 지정판매점으로 열연제품 및 후판을 절단가공하여 생산,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함.
– 포스코의 열연제품 판매 대리점은 동사와 한일철강, 윈스틸, 동양에스텍, 삼현철강, 부국철강, 문배철강 등 8개 업체가 지역 별로 경쟁하고 있음.
– 최근 현대제철 대리점 및 수입유통사들의 업체 확대 및 취급품목의 다변화로 철강재 유통시장의 경쟁은 더욱 과열되는 양상임.
– 글로벌 경기 회복세로 인한 철강재 수요 증가로 주력제품인 열연박판 매출이 증가한 가운데 후판의 매출 역시 증가하며 전년동기대비 매출 규모 크게 확대.
– 큰 폭의 매출 증가로 원가 및 판관비 부담 완화되며 영업이익 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, 금융자산평가손실의 감소로 법인세비용 증가에도 순이익 역시 흑자전환.
– 조선산업의 건조량 부진에도 글로벌 경기 개선, 국내 건설투자의 확대, 자동차 산업의 생산 증가 등으로 열연박판 및 후판 등의 수주 증가하며 매출 성장 전망.
3. 휴스틸
– 증기, 물, 가스 등의 배관에 사용되는 배관용 강관의 제조 및 유통과 토목 건축 등에 사용되는 구조용 강관, 유정 굴착 및 채유에 사용되는 유정용 강관의 생산과 판매를 주력사업으로 영위하며, 서울시 강남구에 본사를 두고, 충남 당진과 전남 영암, 대구 달성군에 공장을 운영하고 있음.
– 신안그룹 계열의 강관제조업체로, 주요 생산품목은 배관용 강관과 토목 및 건축에 사용되는 구조용 강관, 유정 굴착 및 채유에 사용되는 유정용 강관 등임.
– 건설 및 플랜트 산업에 영향을 받으며, 미주 지역 판매를 위해 Husteel USA, Husteel Canada, Husteel America를 종속기업으로 보유하고 있음.
– 캐나다 법인의 강관 판매가 부진하였으나, 지배기업의 내수 판매 및 미국 법인의 판매 증가로 전년동기대비 양호한 매출 성장.
– 양호한 매출 성장에 따른 원가 및 판관비 부담 완화로 영업이익 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, 법인세비용 증가에도 외환차익 증가로 금융수지 개선되며 순이익도 흑자전환.
– 글로벌 경기 개선 및 국제유가 강세에 따른 북미 지역 에너지 플랜트 투자 회복, 국내 건설투자의 확대 등으로 강관 수요 증가하며 매출 성장 전망.
4. 동양에스텍
– 1981년 11월 철강 제품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설립되었으며, 2002년 2월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었음.
– 포스코의 스틸가공센터로서, POSCO가 생산하는 열연제품을 절단 및 가공해 판매함.
– 대전광역시에 본사와 경북 포항에 1공장과 2공장을 두고 열연강판을 주로 생산하고 있음.
– 건설폐기물 처리 및 수집운반업체인 동양알디, 강구조물 공사업체인 동양이엔씨, 금속재료가공업체인 디와이에스엠 등을 종속기업으로 보유하고 있음.
– 폐기물처리 부문 부진하였으나, 주력 철강재 판매와 강구조물공사의 수주가 증가한 가운데 열연강판의 판가도 인상되며 전년동기대비 매출 규모 확대.
– 매출 증가에 따른 원가 및 판관비 부담 완화로 영업이익률 전년동기대비 상승, 지분법손실 및 법인세비용 발생에도 금융자산평가손실 제거되며 순이익 흑자전환.
– 글로벌 경기 개선에 따른 열연 판재류의 수요 증가와 판가 인상, 국내 건설투자의 확대로 폐기물 처리 수요 역시 증가하며 매출 성장 전망.
5. 한일철강
– 1957년 12월 철강판재류 및 강관류의 제조 및 판매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, 1988년 10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었음.
– 자동차, 선박기계, 건설, 보일러 및 구조물 등에 사용되는 열연제품을 주력 생산함.
– 중국 소재 강관업체인 강음한일강철유한공사, 선박대여 업체인 한일해운(주)을 종속기업으로 보유하고 있음.
– 포스코의 열연제품 판매 대리점은 동사와 대동스틸, 윈스틸, 동양에스텍, 삼현철강, 부국철강, 문배철강 등 9개 업체가 지역 별로 경쟁하고 있음.
– 임가공 수주는 부진하였으나 철강 판재류 형강 등의 수요 증가, 강건재의 임대 수익 역시 증가하며 전년동기대비 매출 규모 크게 확대.
– 원가 및 판관비 부담 완화로 영업이익 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, 지분법이익 발생, 이자비용 감소로 법인세비용 증가에도 순이익도 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.
– 가전산업의 둔화에도 글로벌 경기 개선과 자동차 산업의 생산 증가, 국내 건설투자의 확대 등으로 열연판재류, 강관, 형강 등의 수요 증가하며 매출 성장 전망.
6. 동일철강
– 1967년 7월 설립된 철강재 제조업체로 부산광역시 사상구 가야대로에 본사를 두고 봉강 및 형강을 주로 생산하고 있음.
– 원재료인 빌렛드를 열간 압연해 봉강 및 형강을 생산하고 공급함.
– 주요 제품은 기계 및 구조물용 봉강, 기계부품소재용 마봉강, 환봉 등이며, 형강 부문은 2019년 상반기 중 사업을 중단하였음.
– 국내 특수강 시장은 세아창원특수강, 세아베스틸을 중심으로 과점적 구조를 보이며, 동사는 2020년 매출액 기준 8위의 점유율을 보임.
– 글로벌 경기 회복세와 전방 자동차 및 기계산업의 생산 증가로 특수강 수요 증가하며 전년동기대비 매출 규모 크게 확대.
– 큰 폭의 매출 증가에 따른 원가율 하락과 인건비 등 판관비 감소로 영업이익 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, 파생상품평가손실 증가에도 법인세수익과 염가매수차익 발생으로 순이익도 흑자전환.
– 글로벌 경기 개선, 자동차 및 기계산업의 생산 증가세 지속, 국내 건설투자의 확대 등으로 특수강 수요 증가와 대선조선 인수에 따른 사업부문 다각화 등으로 매출 성장 전망.
7. 경남스틸
– 종합철강업체인 포스코의 스틸가공센터(SSC)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, 주로 가전업체, 자동차 업체 등을 수요처로 두고 있음.
– 포스코의 경남지역 스틸가공센터로, 포스코로부터 냉연 및 열연코일을 매입하여 냉연강판, 전기아연도금강판, 산세코일, 아연도금강판 등으로 고객사들의 주문 규격으로 절단 및 가공하여 판매함.
– 국내 철강 유통 및 가공산업은 포스코, 현대제철, 케이지동부제철 등 대규모 철강업체들의 SSC 형태로 운영되며, 동사는 5위의 시장점유율을 보임.
– 전방 자동차 및 가전산업 생산의 증가로 주력제품인 냉연강판, 아연도강판 등의 판매 증가하며 전년동기대비 매출 규모 확대.
– 매출 증가에 따른 원가 및 판관비 부담 완화로 영업이익률 전년동기대비 상승, 법인세비용 증가하였으나 외화환산관련 비용 감소로 순이익률도 상승.
– 가전 업황의 둔화가 예상되나 글로벌 경기 개선, 전방 자동차 산업의 생산 증가세 지속과 국내 건설투자의 확대 등으로 주력 냉연판재류 수요 증가하며 매출 성장 전망.
8. 문배철강
1973년 1월 철강재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설립되어, 판재류, 형강, 스켈프 등을 생산, 판매하고 있는 상장기업임.
– 스켈프, 강판, 형강, 후판, 코일, 박판 등의 철강 제품 생산업체로 포스코의 열연대리점임.
– 포스코의 판매점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다수의 고정거래처 확보하고 있으며, 1990년대 광양공장, 시화공장에 SSC를 완공하여 판재류 제조 및 가공업체로의 사업 확대 이어짐.
– 포스코의 열연제품 판매 대리점은 동사와 대동스틸, 윈스틸, 동양에스텍, 삼현철강, 부국철강 등 9개 업체가 지역 별로 경쟁하고 있음.
– 글로벌 경기 회복세와 자동차 산업의 생산 증가 등으로 인한 열연제품 수요 증가와 판가 상승으로 전년동기대비 매출 규모 크게 확대.
– 큰 폭의 매출 증가로 원가 및 판관비 부담 완화되며 영업이익률 전년동기대비 상승, 지분법이익 증가, 이자수익 증가 등으로 법인세비용 증가에도 순이익률도 상승.
– 조선산업의 건조량 및 가전산업의 둔화가 예상되나, 글로벌 경기 개선, 자동차 및 기계산업의 생산 증가, 국내 건설투자의 확대 등으로 열연제품 수요 증가하며 매출 성장 전망.
9. 현대비앤지스틸
– 현대자동차그룹 계열로 스테인리스 강판의 제조 및 유통업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며,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에 본사 및 공장을 두고 있음.
– 미국 소재의 강판 판매 및 경영자문 업체인 HYUNDAI BNG STEEL USA, INC.를 종속회사로 보유하고 있음.
– 승용디젤엔진 알루미늄 실린더 블록 및 실린더 헤드기술개발, 연료전지용 소재개발, 경량 차체 부품용 고강도 알루미늄 TRB 판재압연기술 등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수행 중임.
– 주력 스테인리스강판 수요 증가하며 전년동기대비 매출 증가, 이에 따른 원가 및 판관비 부담 완화로 영업이익률 및 순이익률 전년동기대비 상승.
– 영업활동상 정(+)의 현금흐름을 지속한 가운데 양호한 수준의 재무구조를 견지한 바 사업운용상 단기적 자금흐름은 원활할 듯.
– 글로벌 경기 개선과 이에 따른 전방 자동차 및 가전산업의 생산 증가 등으로 스테인리스강판 수요 역시 증가하며 매출 성장 전망.
10. 삼현철강
– 포스코의 열연제품 판매 대리점으로, 경남 창원시 의창구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, 전남 광양에 1공장과 2공장을 운영하고 있음.
– 포스코로에서 생산되는 열연코일 및 후판 등의 열연제품과 후판 등을 매입하여 절단, 드릴링, 절곡 등의 가공을 거쳐 수요처에 판매하며, 현대제철로부터 형강을 매입하여 판매함.
– 해양구조물 등에 사용되는 원자재를 도매로 판매함.
– 포스코의 열연제품 판매 대리점은 동사와 대동스틸, 윈스틸, 동양에스텍, 문배철강, 부국철강 등 8개 업체가 지역 별로 경쟁하고 있음.
– 주력 열연제품 수요 증가와 판가 상승으로 전년동기대비 매출 증가, 원가 및 판관비 부담 완화로 영업이익률 전년동기대비 상승, 법인세비용 증가에도 순이익률 역시 상승.
– 순이익 시현 및 비현금성 비용의 가산 확대로 영업활동상 정(+)의 현금흐름을 지속한 가운데 우량한 수준의 재무구조를 견지한 바 사업운용상 단기적 자금흐름은 원활할 듯.
– 가전산업의 성장 둔화가 예상되나, 내수경기 개선, 자동차 산업의 생산 증가, 국내 건설투자의 확대 등으로 주력 열연제품 수요 증가하며 매출 성장 전망.
본 포스팅은 정보전달을 위한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며 절대 종목을 추천하는 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. 투자의 결과 및 책임은 오로지 투자자 본인의 판단에 의한 것임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.
다른 테마 관련주의 소식도 확인하고 싶다면?
[NFT 관련주 TOP10]
[폐배터리 관련주 TOP10]
[코로나19 혈장치료제 관련주 TOP9]
[진단키트 관련주 TOP10]
[메타버스 관련주 TOP10]
철강 중소형주 및 관련주들 상승과 하락 등 주식 흐름에 대해서 더 공부하고 싶은 분들 께서는 아래의 링크를 통해 강의를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.
-위 포스팅은 업체로부터 경제적 대가를 받고 작성된 글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