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
<대출금 상환 방식 종류 총정리>
대출 상환 방식 1. 만기일시상환
– 대출기간 동안 매월 이자만 납부, 만기일에 원금 전액 한번에 상환
- 장점: 만기일까지 돈을 갚지 않아도 된다
→ 초기 부담이 적음, 만기일까지 자금 운용 자유로움
- 단점: 만기일까지 이자가 높다, 만기일 한번에 목돈이 나간다.
- 주 이용자 : 수익성 있는 투자를 계획하는 투자자
대출 상환 방식 2. 원금균등분할상환
– 매월 일정한 금액의 원금 + 원금 잔액에 따른 이자를 함께 상환
- 장점: 총 이자금액이 낮음(이자율이 원금 잔액에 의거하기에 계속 원금을 갚아 나가면 이자율도 그에 따라 줄어듦), 매월 이자 금액 줄어듦
- 단점: 초기 상환 금액 높음, 매월 상환 금액 변동으로 상환 금액 변동으로 자금 운용 계획에 번거로움 발생
- 주 사용자: 일정 원금 상환이 가능해야 하기에 꾸준한 수익이 보장되는 자
대출 상환 방식 3. 원리금균등분할상환
– 원금+이자를 만기일까지 매월 균등하게 상환
- 장점: 매월 상환 금액이 고정 → 재무계획 세우기 용이
- 초기 상환 시에는 이자 지출액 > 원금
상환 막바지에는 원금> 이자 지출액
- 주 사용자: 수입이 일정한 직장인
대출 상환 방식 4. 거치식상환대출
– 일정 기간에는 이자만 상환, 이자 상환 후 원금균등분할 / 원리금균등분할 선택해 상환하는 방식
- 주 이용층: 주택담보대출에서 주로 활용
- 장점: 거치기간을 미리 정해 놓음으로써 대출금을 유용할 수 있는 기간이 다른 상환방식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고 원금을 갚아 나가는 방식을 나중 상황에 따라 선택 가능해 유동적
- 단점: 이자 상환 기간이 지나면 상환 방식에 따른 부담이 큼
대출 상환 방식 5. 한도 대출방식
– 개인 신용등급에 따라 일정 한도 설정, 만기일에 전액 상환하는 방식
- 장점: 약정한도 내에서 자유로운 입출금이 가능, 대출한 금액에 대해서만 이자가 발생, 사용 목적에 상관 없이 소비자가 수시로 빌려 쓸 수 있다.
- 단점: 금리가 높은 편
대출 상환 방식 6. 만기 지정상환액 상환
– 대출금 일부 약정기간 두고 나누어 상환, 나머지는 만기에 일시하는 상환 방식
- 장점: 약정기간 중에는 이자 상환에 대한 부담 낮음
- 단점: 만기에는 한꺼번에 잔액을 갚아야하기 때문에 부담스러운 부분이 있다.